YESDEX 2024
부산관광공사

제59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및 영남 국제 치과학술대회 & 기자재전시회(YESDEX 2024)

10월 28일 (토) 323호 16:00 ~ 17:00

  • 연자

    안병선

  • 연제

    사례로 살펴보는 증여세와 상속세

  • 약력

    기획재정부 국세예규심사위원회 위원(전)
    기획재정부 준정부기관 경영평가단 위원(전)
    국세청 국세심사위원회 위원(전)
    중부지방국세청 납세자보호위원회 위원장(전)
    남서울대학교 겸임교수(현)
    경영학 박사

초록내용

가끔, 증여가 좋을까요? 상속이 좋을까요?라는 질문을 듣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그때 그때 다르다는 답을 합니다

이렇듯 상속세와 증여세의 절세방안은 케이스별로 다르게 됩니다

상속세와 증여세 절세계획(Tax Planning)이란 다양한 요소(재산 정도, 재산 종류, 증여자(피상속인)과 수증인(상속인) 구성, 연령, 등등)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상속(증여)재산가액은 낮추고 상속(증여)공제를 높이는 방도를 찾아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절세계획의 실천에 있어 물리적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절세계획에 관심을 갖고 고민하는 것은 빠를수록 좋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증여세(상속세)는 경제(사회)가 복잡, 다분화됨에 따라 다양한 절세방안의 고안이 계속되어 왔고

국가는 이를 과세범위에 포섭하는 과정(상속세 및 증여세법 개정)을 반복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국세 중 가장 역동적인 조세라 할 수 있습니다

절세계획을 위하여 과세범위 등에 대한 변화에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증여세(상속세) 적용 실제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고

증여세와 상속세에 대한 절세계획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페이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