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SDEX 2024
부산관광공사

제59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및 영남 국제 치과학술대회 & 기자재전시회(YESDEX 2024)

10월 28일 (토) 323호 15:00 ~ 16:00

  • 연자

    김성교

  • 연제

    근관치료 중 file fracture시 극복 방법

  • 약력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역임
    대한치과보존학회 회장 역임
    아시아태평양치과근관치료학회연맹 회장 역임
    국제치과근관치료학회연맹 회장 역임

초록내용

근관치료에 니켈-티타늄 전동기구가 도입되면서 근관형성방법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전동 니켈-티타늄 기구가 발전됨에 따라 기구 파절의 발생빈도도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전동 니켈-티타늄 기구는 수동기구에 비해 파절빈도가 크다고 보고되고 있다. .  

파절된 기구를 처리하는 데에는 비외과적인 방법과 외과적인 방법이 있으며 비외과적인 방법 기계적인 방법에는 추출기, 와이어 루프, 포스트제거장치, 초음파, 레이저 조사 등의 

파절기구 제거용 기구들을 사용한다. 화학적인 방법에는 기구를 부식시키는 화학적 용해제를 사용하거나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기구를 용해시킨다

외과적인 방법으로는 치근수술, 재식술, 치근절제술, 치아절제술의 방법이 있다

근관내 기구파절 증례의 예후는 파절기구의 제거 자체보다 근관 세균 감염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거하는가 하는 것에 좌우된다.  

강좌에서는 근관내 기구파절의 원인과 대책을 알아본다.

페이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