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SDEX 2024
부산관광공사

제59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및 영남 국제 치과학술대회 & 기자재전시회(YESDEX 2024)

10월 28일 (토) 324호 16:00 ~ 17:00

  • 연자

    이성복

  • 연제

    임플란트 보철치료 후 임플란트 주위 병변에 대한 항목별 고찰

  • 약력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치과병원 인턴, 레지던트과정 수료
    일본 오우대학 가철성보철과 박사과정 장학생교류유학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보철학박사
    미국 하버드대학 치학부 보철과 및 임플란트과 교환교수
    경희치대 가철성국소의치학, 턱기능교합학, 치과임플란트학강좌 책임교수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보철과, 강동 경희치대병원 생체재료보철과 교수
    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보철과 명예교수

초록내용

병변에 대한 원인을 알아야 치료를 하고 예방과 함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임플란트 주위의 병변에 대해서는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과 임플란트 주위염의 두가지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정리하고 있다.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implant mucositis)과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이 그것이다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은 gentle probing 에 대한 출혈과 발적, 부종 및/또는 삼출을 특징으로 하지만, 임플란트 본체의 주위골까지는 염증이 침범하지 않은 상태이다

임플란트 종류에 관계없이, 임플란트 수술 후 치유과정 및 보철물에 의한 기능력 부하 이후 첫해의 초기 임플란트 crestal bone 소실이

동일부위에서 그 다음 해에 확인되는 crestal bone 소실보다 큰 경우가 많다

초기 임플란트 골흡수에 대한 가능한 원인으로는 수술시 과도한 초기고정력을 포함한 외과적 외상, 교합 과부하, 임플 란트 주위염, 미세간극(micro-gap), 

생물학적 폭경(biologic width), 그리고 임플란트 자체의 crest module 등을 손꼽을 수 있다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FDP)은 생존율이 높은 안전하고 예측 가능한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생물학적, 기술적 합병증이 빈번하다는 점을 잘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치과 전문의는 임플란트 지지 FDP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구성부품과 재료를 선택하는 데에 더 섬세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치과의사와 환자는 치료 후 임플란트치의학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잘 체계화된 유지관리 시스템을 성실하게 수행해야 한다는 의무가 따른다.

페이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