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9일 (일) 321호 15:00 ~ 16:00
-
연자
김지락
-
연제
Splint를 활용한 턱관절 장애의 치료
-
약력
구강내과 전문의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 레지던트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 진료전문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치과학교실 조교수
현재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구강내과학교실 조교수
초록내용
턱관절 장애를 가진 환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치과의사 선생님들께서 턱관절 장애의 치료에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환자가 가진 증상이 턱관절 장애인지 아닌 지에 대한 진단만 잘 이루어진다면 치료 자체는 크게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진료실에서 흔히 만나게 되는 턱관절 장애 환자의 증상과 이를 진단하는 방법 그리고 splint를 활용한 치료방법에 대해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Hard splint와 soft splint의 효과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환자의 증상 및 징후의 개선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면 턱관절 장애 환자에서는 hard splint가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Soft splint는 어린이 혹은 성인의 운동시에 외상방지를 위해 널리 사용됩니다. 장치는 상악 혹은 하악에 사용되며 악궁에 따른 효과는 차이가 없습니다.
장치는 악궁 전체를 덮어야 하며, 악궁 전체를 피개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피개하는 형태는 교합변화를 초래할 수 있어서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교합안정장치를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며, 전방위치장치는 적응증이 제한적입니다.
아직도 많은 환자들이 인터넷이나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곳에서 판매되는 기성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치아 및 구강조직에 적합하지 않은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턱관절 장애가 심해지거나 교합변화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 치과의사는 환자 개개인의 증상에 맞는 장치를 선택해야 하고 반드시 주기적인 경과관찰을 통해 증상의 개선여부 및 부작용의 발생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